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방문자 수 향상시킬 수 있는 "줌(ZUM) 사이트" 등록 방법

by 부지런쩡이 2022. 4. 14.
반응형

안녕하세요.

왕초보인 제가 티스토리를 개설해서 포스팅을 해나가고 있는지 일주일 정도 지났습니다.

제 티스토리 블로그에는 제가 일상생활에서 알게 된 정보들 중

유익한 정보, 남들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정보들을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아무리 열심히 포스팅을 한다고 해도

제 블로그에 방문하시는 분들이 없다면 이런 정보들도 공유가 될 수가 없겠죠.

그래서 블로그 방문자를 좀 더 늘릴 수 있는 방법은 어떤게 있을까 하고 생각해보다가

제가 알게 된 몇 가지 방법이 있어서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1. 줌 사이트 등록 방법

 

방문자를 늘리려면 방문자들이 제 블로그의 존재를 알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유입을 할 수 있게 해두는것이 가장 중요한데

그 중 가장 쉬운 방법은 "네이버/구글/줌"과 같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포털사이트에 제 블로그를 등록하는 일입니다.

 

물론 포털사이트에 블로그를 등록한다고 해서 무조건 제 블로그가 노출된다고 볼 수는 없겠지만,

포털사이트에서 제 블로그의 존재를 알고는 있어야

포털사이트에 필요한 글이 생겼을때

제 블로그 포스팅의 글을 가져가서 노출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절차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줌 ZUM의 경우 네이버나 구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생성된지 얼마 안 된 블로그의 글도 필요하다면 노출이 된다고 합니다.

 

 

 줌 사이트 등록 방법

 

 

1) 줌 사이트 등록 사이트로 접속하기

https://help.zum.com/submit/

 

ZUM - 사이트 검색등록

 

help.zum.com

 

2. "사이트 검색 등록" - "신규 등록" 클릭하기

 

 

3) 이메일과 블로그 주소, 사이트명, 사이트 소개를 입력하기 

 

사이트 등록 정보 중 "사이트 주소"를 정확하게 입력하는 부분이 가장 중요하고

나머지는 크게 중요하진 않아서 사이트명/사이트 소개는 간략하게 기재해주시면 됩니다.

 

4)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하고 "신청하기"를 클릭

 

동의 후 "신청하기"를 클릭하면 제 블로그 등록 절차가 완료됩니다.

줌 사이트에 블로그 등록하는 방법은 여기까지 끝일만큼 정말 간단해서

줌 포털 사이트에 노출이 될지 안될지 알 수 없더라도

신청하기를 통해 가능성을 열어두기 위해서 등록해두길 추천드립니다.

 

 

2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웹마스터도구) 등록 방법

 

줌 사이트 외에도 네이버 사이트에 최대한 노출이 가능하게 등록하는 방법인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웹마스터도구)" 등록 방법은 이전에 작성해둔 포스팅 참고 부탁드립니다.

https://jjeongdaily.tistory.com/entry/%EB%84%A4%EC%9D%B4%EB%B2%84%EC%84%9C%EC%B9%98%EC%96%B4%EB%93%9C%EB%B0%94%EC%9D%B4%EC%A0%80-%EB%84%A4%EC%9D%B4%EB%B2%84%EC%9B%B9%EB%A7%88%EC%8A%A4%ED%84%B0%EB%8F%84%EA%B5%AC-%ED%8B%B0%EC%8A%A4%ED%86%A0%EB%A6%AC%EB%84%A4%EC%9D%B4%EB%B2%84%EC%84%9C%EC%B9%98%EC%96%B4%EB%93%9C%EB%B0%94%EC%9D%B4%EC%A0%80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웹마스터도구)" 등록으로 내 블로그 네이버에 노출시키기

안녕하세요! 지난 번 첫 포스팅으로 초보자들도 티스토리 블로그 개설을 쉽게 따라하실 수 있다는 걸 보여드렸는데요. 블로그가 개설되었다면 이제 부지런히 좋은 정보들을 공유해야겠죠? 정보

jjeongdaily.tistory.com

 

3. 구글 애널리틱스 등록 방법

 

1번과 2번에서 "줌사이트"와 "네이버"에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면 

다음번 포스팅에서는 구글 애널리틱스에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내 블로그에 실시간으로 몇 명의 방문자가 들어와 있는지,

방문자가 페이지에 얼마나 머물렀는지, 한 페이지에서 수익이 얼마나 났는지 등

다양한 분석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분석틀이라고 해요.

 

다음번 포스팅에서도 유익한 정보를 많이 공유할 수 있도록 열심히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